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M 창업 스토리 완벽 정리 (얼링 페르손, 기업역사, 요약)

by smartinfo100 2025. 7. 24.
반응형

h&m 사진

전 세계 쇼핑 거리 곳곳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패션 브랜드 H&M은, 빠르게 변하는 유행 속에서 누구나 스타일을 갖출 수 있도록 만든 '패스트패션'의 대표주자입니다. 하지만 이 브랜드의 시작은 스웨덴의 한 지방 도시에서 출발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창업자 얼링 페르손(Erling Persson)의 도전, 브랜드의 확장, 그리고 오늘날의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전환까지 H&M의 기업사를 정리합니다.


미국에서 얻은 영감, 스웨덴에서 시작된 실험

1946년, 얼링 페르손은 미국 여행 중 새로운 유통 구조를 경험하게 됩니다. 현지 백화점과 매장에서 ‘빠르게 바뀌는 옷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는 방식’을 보며, 이러한 시스템이 유럽 시장에도 통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귀국 후 그는 1947년, 스웨덴의 베스테로스(Västerås)라는 도시에서 여성 의류 전문 매장 'Hennes(스웨덴어로 그녀의)'를 열게 됩니다. 이는 남성복 없이 여성 소비자만을 위한 매장이었고, 당시로선 흔치 않은 콘셉트였습니다. 심플한 디자인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점차 주목을 받기 시작합니다.

‘Hennes & Mauritz’의 탄생

1968년, 페르손은 스웨덴의 사냥·남성 의류 브랜드 'Mauritz Widforss'를 인수하면서, 브랜드 범위를 남성복으로 확장하게 됩니다. 이때부터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H&M(Hennes & Mauritz)'라는 이름이 탄생합니다.

이후 H&M은 빠른 상품 회전율, 효율적인 공급망 구축, 직접 디자인과 생산을 조율하는 방식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높여갔습니다. 주요 소비층이 젊은 여성에서 가족 단위 소비자까지 넓어지면서, 브랜드의 상품 구성도 아동복, 액세서리, 화장품 등으로 확대됩니다.

유럽에서 세계로, 패스트패션의 전형

1970년대 이후, H&M은 스웨덴 외의 유럽 국가들로 매장을 확대해 나갑니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서는 미국, 일본, 중국 등으로의 진출도 본격화하며,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합니다.

‘빠른 생산과 빠른 유통’이라는 전략 아래, H&M은 시즌마다 수천 개의 디자인을 짧은 주기로 매장에 선보이며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켜 왔습니다.

또한 2004년부터는 고급 디자이너 브랜드와 협업하는 전략도 도입합니다. 칼 라거펠트, 베르사체, 알렉산더 왕 등과의 협업을 통해 브랜드의 대중성과 감도 높은 패션 이미지를 동시에 강화했습니다.

비판과 대응, 지속가능성으로의 전환

한편, H&M은 대량 생산 구조로 인해 환경 문제와 노동 환경에 대한 비판도 함께 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2010년대부터는 지속 가능한 패션 전략을 본격적으로 수립하게 됩니다.

재활용 섬유 활용, 친환경 소재 확대, 매장 내 의류 수거 프로그램 등이 도입되었고, ‘Conscious Collection’이라는 친환경 라인도 출시되었습니다. 또한 ESG 경영 보고서 공개, 탄소 저감 전략 등을 통해 이미지 개선 및 장기적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H&M은 단순한 패션 브랜드를 넘어, 유통과 디자인, 마케팅 전략이 결합된 패스트패션의 구조적 전환을 이끈 기업입니다. 얼링 페르손의 관찰력과 실행력은 브랜드의 초석이 되었고, 후속 세대는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확장을 이어갔습니다.

디자인 감각과 가격 경쟁력, 유통 시스템, 브랜드 전략이 균형을 이루며 H&M은 현재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소비자와 만나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해온 H&M의 창업 이야기는, 단순히 옷을 파는 것을 넘어서 하나의 라이프스타일 문화를 구축한 기록으로 남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