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DB 창업 스토리 완벽 정리 (김준기, 기업역사, 요약)

by smartinfo100 2025. 8. 5.
반응형

DB 사진

DB그룹은 철강 유통에서 출발해 금융, 반도체, 첨단 소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복합 기업입니다. 이 그룹의 시작은 1969년, 김준기 창업자가 설립한 ‘동부산업’이라는 철강 유통회사였습니다. 당시만 해도 중소기업이 제조 기반을 갖추기는 쉽지 않았지만, 김준기는 철강 산업의 미래에 확신을 가지고 도전을 시작합니다.


철강에서 시작된 기업가 정신

김준기는 단순히 철강을 유통하는 것을 넘어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꾀했습니다. 그는 “유통보다 제조에 답이 있다”고 판단하고, 철강 가공에 직접 뛰어듭니다. 동부제강을 중심으로 공장 설비를 늘리고, 생산 라인을 확보하며 철강 제조 기반을 다져 나갔습니다. 품질과 납기 신뢰를 바탕으로 동부는 국내 조선, 건설, 에너지 산업의 중요한 협력사로 자리 잡게 됩니다.

1970~80년대 산업화 붐 속에서 동부는 철강 유통과 생산을 넘나들며 경쟁력을 키워갔고, 국내 굴지의 철강 전문 기업으로 발돋움합니다.

금융 산업으로의 진출

1990년대에 들어서며 김준기는 또 다른 도전에 나섭니다. 제조업만으로는 안정적인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금융 산업에 진출합니다. 동부화재(현 DB손해보험)를 인수하며 보험업에 뛰어들었고, 이후 동부증권, 동부생명 등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설립하거나 인수하며 사업을 다각화합니다.

내실 경영과 장기적 관점의 투자 전략으로 금융 부문은 빠르게 성장했고, 제조업과 함께 그룹의 양축을 형성합니다. 특히 DB손해보험은 손해보험 업계 상위권으로 올라서며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첨단 산업과 기술 투자

2000년대 들어 DB는 반도체와 전자소재 분야로도 진출합니다. DB하이텍(구 동부아남반도체)을 통해 시스템 반도체 제조를 시작하며, 국내 반도체 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첨단 설비 투자, 품질 안정화, 기술 인재 확보를 통해 DB하이텍은 글로벌 고객사와의 거래를 성사시키며 수익 기반을 확대합니다.

이외에도 정보통신, 전자소재, 에너지 솔루션 등 신산업 분야에 집중하며, 그룹 전체가 ‘기술 기반 제조와 금융’을 양축으로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됩니다.

브랜드 리뉴얼과 ‘DB’로의 전환

2017년, 동부그룹은 브랜드 이미지를 재정비하며 ‘DB그룹’으로 이름을 바꿉니다. '동부'라는 지역성을 넘어 글로벌 지향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결정이었습니다. 계열사들도 DB손해보험, DB금융투자, DB하이텍 등으로 명칭을 변경하며 통합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게 됩니다.

이후 그룹은 디지털 전환, 친환경 생산, ESG 경영에 적극 나서며 시대 흐름에 발맞춘 혁신을 시도합니다. 스마트 공장 도입, 전산 시스템 강화 등도 병행하며 경영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마무리

DB그룹은 김준기 창업자의 원칙 있는 경영과 장기적 비전을 통해 국내 산업계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철강에서 시작해 금융과 반도체로 확장한 구조는 ‘내실’과 ‘균형’을 중시한 전략의 결과물입니다. 외형적 성장보다는 신뢰와 지속 가능성을 택한 그의 방식은 오늘날 DB 전 계열사에 스며들어 있습니다.

앞으로도 DB는 기술, 제조, 금융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산업 전반의 생태계를 이끄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조용하지만 단단한 리더십, 그리고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 그 중심에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